본문 바로가기

Study/GitHub

Git | init

생활코딩 - 지옥에서 온 git 강의를 참고해서 공부하고 있다.

생활코딩,, 못 잃어,, 

 

1. Git 설치

가장 먼저 git 설치 파일을 다운받기 위해 아래 홈페이지에 들어가 알맞은 exe파일을 다운받는다.

https://git-scm.com/

 

Git

 

git-scm.com

 

기본 환경설정을 따로 변경하지 않고 exe파일을 실행하여 git을 다운받았고,

다운이 완료되면 git bash를 실행해준다.

 

실행하면 위와 같은 창이 뜨고 해당 창에 git을 입력, 여러 설정들이 주루룩 나오는 것까지 확인하면 git 설치가 완료됐다.

 

 

 

2. Git init

git bash 창에서 작업을 시작한다.

 

 

  • pwd : 현재 디렉토리를 확인
  • cd : 디렉토리 이동
    • cd [dir 경로] : 해당 dir로 이동
    • cd . : 현재 dir
    • cd .. : 상위 dir로 이동
    • cd / : 최상위 dir로 이동
    • cd - : 이전 경로로 이동
  • mkdir [dir name] : 디렉토리 생성 (해당 경로에서)
  • rm -rf [dir name] : 디렉토리 삭제

 

  •  ls : 현재 디렉토리 위치에서 파일보기
    • -a : 숨겨진 파일까지 보기
    • -l : 상세 정보까지 같이보기
    • ex) ls -al : 현 디렉토리에 숨겨진 파일까지 상세 리스트로 확인하기

 

 

위 git 명령어를 이용해서 pwd로 현재 위치 확인하고,

원하는 dir로 경로 이동하여 mkdir [폴더명] 으로 앞으로의 산출물이 모일 dir를 생성하고,

cd [해당dir이름] 을 통해 dir 내부로 들어간다.

 

 

init은 현재 dir에서 작업을 진행하겠다는 것을 git에게 알려주는 명령어다.

git init을 실행하면 .git repository 초기화와 master라는 branch가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ls -al로 현디렉토리 목록 확인하면 자세한 목록리스트와 함께 .git 생성된것 확인할 수 있다.

이제부터 해당 폴더에 버전관리 산출물이 저장되기 시작한다.

 

'Study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 여러계정 이용하기  (0) 2022.03.27
GitHub | 원격저장소와 동기화  (0) 2022.03.27
Git | reset, branch, merge, stash  (0) 2022.03.07
Git | add, commit, log & diff  (2) 2022.03.05
GitHub 블로그 만들기  (0) 2022.03.03